Updated:

데이터 전환

데이터 전환의 개요

 데이터 전환이란 운영 중인 기존 정보 시스템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Extraction)하여 새로 개발할 정보 시스템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변환(Transformation)한 후, 적재(Loading)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전환을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 즉 추출, 변환, 적재 과정이라고 한다. 데이터 전환을 데이터 이행(Data Migration) 또는 데이터 이관이라고도 한다.

데이터 전환 계획서

 데이터 전환 계획서는 데이터 전환이 필요한 대상을 분석하여 데이터 전환 작업에 필요한 모든 계획을 기록하는 문서이다.

데이터 전환 방안

 데이터 전환 방안 항목에는 데이터 전환 규칙, 데이터 전환 절차, 데이터 전환 방밥, 데이터 전환 설계, 전환 프로그램 개발 및 테스트 계획, 데이터 전환 계획, 데이터 검증 방안이 있다.

데이터 검증

데이터 검증

 데이터 검증이란 원천 시스템의 데이터를 목적 시스템의 데이터로 전환하는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이나는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전환 검증은 검증 방법과 검증 단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검증 방법에 따른 분류

 데이터 검증은 검증 방법에 따라 로그 검증, 기본 항목 검증, 응용 프로그램 검증, 응용 데이터 검증, 값 검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검증 단계에 따른 분류

 원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점부터 전환 시점, DB 적재 시점, DB 적재 후 시점, 전환 완료 후 시점별로 그 목적과 검증 방법을 달리하여 데이터 전환의 정합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오류 데이터 측정 및 정제

오류 데이터 측정 및 정제의 개요

 오류 데이터 측정 및 정제는 고품질의 데이터를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해 수행된다. 오류 데이터 측정 및 정제는 ‘데이터 품질 분석, 오류 데이터 측정, 오류 데이터 정제’ 순으로 진행한다.

데이터 품질 분석

 데이터 품질 분석은 오류 데이터를 찾기 위해 원천 및 목적 시스템 데이터의 정합성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오류 데이터 측정

 오류 데이터 측정은 데이터 품질 분석을 기반으로 정상 데이터와 오류 데이터의 수를 측정하여 오류 관리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정상 데이터는 전환 대상 범위의 데이터를 업무 영역별, 테이블별로 구분하여 수향을 측정 및 기재한다. 오류 데이터는 업무별로 오류 위치 및 유형을 확인하여 수량을 측정 및 기재한다.

오류 데이터 정제

 오류 데이터 정제는 오류 관리 목록의 각 항목을 분석하여 원천 데이터를 정제하거나 전환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이다.

댓글남기기